티스토리 뷰

상속세 공제한도 자동계산

오렌지@# 2019. 6. 15. 01:00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보아도 보아도 어려운

 

상속세 공제한도를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방법에 대해

 

안내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는 국세로서 증여자의 사후에 무상증여되는

 

재산에 대한 세금을 상속세라고 하는데요.

 

상속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상속세의 세율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상속세 공제한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이부분은 봐도 봐도 어려워서 이렇게

 

정리를 해두고 있는데요.

 

여러분들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상속세과세가액에서 공제액을 차감한 금액에 대해서

 

세금이 부곽가되어지는데요.

 

그 과세표준은 위에 표와 같습니다.

 

상속세 공제한도의 범위를 초과했을 경우 이렇게

 

상속세가 부과가 되어지느데요.

 

 

 

그렇다면 상속세의 공제금액을 자동으로 확인해보는

 

방법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를 눌러주시고 위 화면이 보여지신다면

 

거기에서 상속세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바로 화면이동을 하게 되느네둉.

 

 

상속세의 과세판정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 인적공제를 위해서 자세한 정보를

 

입력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하단의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바로 자동으로 전체 공제액이 나와요.

 

 

상속세 기초공제는 2억, 인적공제중에서는

 

배우자는 30억까지 가능하며, 자녀는 인당 3천만원,

 

연로자 60세이상 3천만원, 미성년자는 500만원으로

 

20세까지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하고, 쟁이인은 500만원 곱하기

 

기대여명연수로 계산을 하게되는데요.

 

사실상 많은 재산을 받게 되는 경우에만 부과되어지는게

 

일반적이라고 하네요. 오늘의 정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