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이버 근무일수 계산기 사용 방법, 예시로 쉽게 확인하세요
스피킹@ 2024. 7. 11. 10:36
안녕하세요! 오늘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근무일수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 도구는 이직 준비나 이력서 작성 시 유용 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근무일수 계산기 사용 방법
네이버에서 근무일수 를 계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먼저 네이버 검색포털에서 "날짜계산"을 검색 합니다. 그러면 달력과 날짜 관련 정보가 표시됩니다 . 여기서 기준이 되는 입사일과 퇴사일을 입력하면 됩니다 . 직접 날짜를 선택하거나 기입하여 근무일수 를 쉽게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2월 18일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근무한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다면 , 계산 결과를 통해 정확한 일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로는 2014년 2월 입사하여 2016년 11월까지 근무한 경우 1,017일 정도 근무했다고 나옵니다 .
네이버 근무일수 계산기 예시
입사일 |
퇴사일 |
근무 기간 |
2014년 2월 18일 |
2016년 11월 |
1,017일 |
추가 기능 및 특징
네이버의 날짜계산기는 근무일수 계산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디데이나 특정 기준일로부터 며칠째인지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상단 탭에서는 전역일 계산기나 만나이 계산기도 제공되어 필요한 경우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특별히 "네이버 근무일수 계산기 "라는 별도의 기능은 없으며, 네이버의 일반적인 날짜계산 기능을 이용하여 근무일수 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네이버의 근무일수 계산기를 이용하여 근무 일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 도구는 이직 준비나 이력서 작성 시 유용 하게 활용할 수 있으니, 필요할 때 꼭 사용해보세요!
네이버 근무일수 계산기 사용 방법
단계 |
설명 |
1 |
네이버 검색포털에서 "날짜계산"을 검색합니다. |
2 |
검색 결과로 달력과 날짜 관련 정보가 표시됩니다. |
3 |
기준이 되는 입사일을 입력하고, 달력에서 날짜를 선택하거나 직접 기입합니다. |
4 |
퇴사일을 입력하여 근무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근무일수 계산기 예시
입사일 |
퇴사일 |
근무 기간 |
2014년 2월 18일 |
2016년 11월 |
1,017일 |
추가 기능 및 특징
기능 |
설명 |
디데이 계산 |
특정 기준일로부터 남은 날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전역일 계산기 |
병역 휴대일을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됩니다. |
만나이 계산기 |
생일을 입력하여 현재 나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